맨위로가기

프랑크인의 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크인의 왕은 프랑크족을 다스린 군주들을 의미하며, 초기 프랑크족 군주, 메로빙거 왕조, 카롤링거 왕조 시기를 거쳐 프랑크 왕국이 분열되는 과정을 거쳤다. 초기 프랑크족 군주들은 507년 클로비스 1세가 왕으로 추대된 이후 쾰른, 캉브레, 살리 프랑크족 등 다양한 부족의 군주들이 존재했다. 메로빙거 왕조는 클로디오, 메로베크, 킬데리크 1세, 클로비스 1세로 이어졌으며, 클로비스 1세는 프랑크 왕국을 통일했다. 이후 프랑크 왕국은 클로비스 1세의 사후 분열과 재통합을 반복하며 네우스트리아, 부르군디, 아우스트라시아로 분할되었다. 679년 테우데리크 3세가 전 프랑크인의 왕으로 인정받은 이후, 프랑크 왕국은 카롤링거 왕조 시대를 맞이하여 피핀 3세가 왕위에 올랐다. 카롤링거 왕조는 샤를마뉴 대제 시기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베르됭 조약으로 동, 서, 중 프랑크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서프랑크 왕국은 프랑스 왕국으로, 동프랑크 왕국은 독일로 발전했으며, 중프랑크 왕국은 여러 국가로 분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 프랑크인의 왕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프랑크인의 왕 -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는 로타르 1세의 아들로 이탈리아를 수호하려 노력했으나 동생과의 갈등, 포로로 잡히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서프랑크의 카를 2세가 황제관을 차지했다.
  • 유럽의 역사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유럽의 역사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프랑크인의 왕
프랑크인의 왕
개요
초대클로비스 1세
성립481년
마지막루이 5세
폐지987년
임기종신직
정보
칭호프랑크인의 왕 (rex Francorum)
문장카롤루스 십자가

2. 초기 프랑크족 군주

초기 프랑크족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부족은 독자적인 군주를 가지고 있었다. 역사 기록이 부족하여 초기 군주들의 목록은 완전하지 않다.

살리 프랑크족의 주요 군주는 다음과 같다.



쾰른을 중심으로 한 리푸아리아 프랑크족의 주요 군주는 다음과 같다.

  • 쾰른의 힐데베르트: 리푸아리안의 클로도베크의 손자
  • 클로데리히
  • 문데리히


캉브레 지역 프랑크족의 군주는 다음과 같다.

  • 클로디오 (426–447), 잘리어족의 왕
  • 라그나카르: 클로디오의 후손이나 자세한 관계는 알려지지 않음. 클로비스 1세에게 살해됨
  • 게노바우드 (3세기?)
  • 메로게이스와 아스카릭 (4세기)
  • 마로머 (4세기), ''두스''
  • 순노 (4세기), ''두스''
  • 게노바우드 (4세기), ''두스''
  • 말로바우데스 (4세기)
  • 테오데메르 (5세기)
  • 라그나차르 ( 509년 사망),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 차라릭 ( 509년 사망),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507년에는 리푸아리아 프랑크족도 클로비스 1세를 왕으로 받아들였다.[6]

그 외에 알려진 초기 프랑크족 군주는 다음과 같다.

지배자설명
아스카릭
메로게
말로바우데스
게노바우드
순노
마르코메르
파라몽마르코메르의 아들. 반 전설적인 왕. (420년 - 448년에 클로디오와 공동 통치)[6]
클로디오(420년 - 448년에 파라몽과 공동 통치)[6]
테우데메르리코메르의 아들, 422년경 왕위에 오름.
아에기디우스시아그리우스의 아버지.
절름발이 시기베르트483년 - 507년 재위, 아들 클로데릭(아버지 살해자)에 의해 살해됨.
클로데릭절름발이 시기베르트의 아들. 507년 왕위에 올랐으나, 클로비스 1세에 의해 폐위됨.


2. 1. 살리 프랑크족

클로디오 (426년경–447년경)를 시작으로, 메로베우스 1세 (450년경–458년경)가 뒤를 이었다. 메로베우스 1세는 메로빙거 왕조의 이름의 기원이 된 인물이다.[6] 힐데리히 1세 (458년경–481년경)는 메로베우스 1세의 아들이며, 그 뒤를 이은 클로비스 1세 (481년경–511년)는 힐데리히 1세의 아들로 훗날 갈리아 전체를 통합하였다.

이름과 제위 년도초상탄생결혼과 자녀사망혈통
메로베우스 1세
104x104픽셀
411년경베리카458년경살리 프랑크인의 왕
킬데리쿠스 1세
111x111픽셀
437년경튀링겐의 바신느481년경메로베우스 1세의 아들
클로도베쿠스 1세
117x117픽셀
466년경1) 이름 미상의 첩511년 11월 27일킬데리쿠스 1세와 튀링겐의 바신느의 아들



이 외에도 게노바우드(3세기?), 메로게이스와 아스카릭(4세기), 마로머(4세기), 순노(4세기), 게노바우드(4세기), 말로바우데스(4세기), 테오데메르(5세기), 라그나차르(509년경 사망), 차라릭(509년경 사망) 등의 군주들이 있었다.

초기 지배자들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많이 남아있지 않아 불완전하며, 클로비스 1세와 관련된 인물들은 509년 이전에 왕위를 잃었다.

지배자설명
클로디오테우도메르의 아들. 뒤스부르크 및 이후 투르네의 왕 (426년경 - 447년경).
메로비우스아마도 클로디오의 아들. 투르네의 왕 (447년경 - 458년경).
킬데리크 1세메로비우스의 아들. 투르네의 왕 (458년경 - 481년경).
클로비스 1세킬데리크 1세의 아들. 투르네의 왕 (481년경 - 511년), 후년에 프랑크족의 대부분과 갈로-로마를 통일.



지배자설명
카라릭
라그나카르486년 이전부터 캉브레의 왕, 클로비스 1세에 의해 살해당했다.
리카리우스라그나카르의 형제. 캉브레에서 클로비스 1세에 의해 살해당했다.
리그노메르라그나카르의 형제. 르망에서 클로비스 1세에 의해 살해당했다.


2. 2. 리푸아리아 프랑크족

507년 클로비스는 리푸아리아 프랑크족의 왕으로 인정받는다.[6]

쾰른 족의 주요 군주는 다음과 같다:

  • 쾰른의 힐데베르트: 리푸아리아 프랑크족 클로도베크의 손자
  • 클로데리히
  • 문데리히


캉브레 족의 주요 군주는 다음과 같다:

  • 클로디오 (426–447), 잘리어족의 왕
  • 라그나카르: 클로디오의 후손이나 자세한 관계는 알려지지 않음. 잘리어 족의 클로비스 1세에게 살해됨
  • 게노바우드 (3세기?)
  • 메로게이스와 아스카릭 (4세기)
  • 마로머 (4세기), ''두스''
  • 순노 (4세기), ''두스''
  • 게노바우드 (4세기), ''두스''
  • 말로바우데스 (4세기)
  • 테오데메르 (5세기)
  • 라그나차르: 509년 사망,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 차라릭: 509년 사망,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 힐데베르트 (5세기)
  • 절름발이 시고베르트: 509년 사망, 클로비스의 사주로 살해됨
  • 살부자 클로도릭: 509년 사망, 시고베르트의 아들,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초기 지배자 목록은 역사적 자료 부족으로 불완전하다.

지배자설명
아스카릭
메로게이스
말로바우데스
게노바우드
순노
마르코메르
파라몽마르코메르의 아들. 반(半) 전설적인 왕. (420년 - 448년에 클로디오와 공동 통치)[6]
클로디오(420년 - 448년에 파라몽과 공동 통치)[6]
테오데메르리코메르의 아들, 422년경 왕위에 오름.
아에기디우스시아그리우스의 아버지.
절름발이 시고베르트483년 - 507년 왕위에 오름, 아들 클로데릭(살부자)에 의해 살해당함.
살부자 클로도릭절름발이 시고베르트의 아들. 507년 왕위에 오름, 클로비스 1세에 의해 폐위됨.


2. 3. 기타 초기 군주



본문 메로빙거 왕조 참조.

이름과 재위 기간초상탄생결혼과 자녀사망혈통
메로베우스 1세411년 (?)베리카458년 (?)살리 프랑크인의 왕
킬데리쿠스 1세437년 (?)튀링겐의 바신느481년 (?)메로베우스 1세의 아들
클로비스 1세466년 (?)1) 이름 미상의 첩511년 11월 27일킬데리쿠스 1세와 튀링겐의 바신느의 아들


  • 게노바우드 (3세기?)
  • 메로게이스와 아스카릭 (4세기)
  • 마로머 (4세기), ''두스''
  • 순노 (4세기), ''두스''
  • 게노바우드 (4세기), ''두스''
  • 말로바우데스 (4세기)
  • 테오데메르 (5세기)
  • 라그나차르 (509년 사망),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 차라릭 (509년 사망), 클로비스에게 살해됨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여 초기 지배자 목록은 불완전하다.

지배자설명
아스카릭
메로게
말로바우데스
게노바우드
순노
마르코메르
파라몽마르코메르의 아들. 반 전설적인 왕. (420년 - 448년에 클로디오와 공동 통치)[6]
클로디오(420년 - 448년에 파라몽과 공동 통치)[6]
테우데메르리코메르의 아들, 422년경 왕위에 오름.
아에기디우스시아그리우스의 아버지.
절름발이 시기베르트483년 - 507년 재위, 아들 클로데릭(아버지 살해자)에 의해 살해됨.
클로데릭절름발이 시기베르트의 아들. 507년 왕위에 올랐으나, 클로비스 1세에 의해 폐위됨.


3. 메로빙거 왕조

클로디오 (426–447), 메로베우스 1세(450–458 (?))를 거쳐 힐데리히 1세 (458–481)대에 이르러 메로빙거 왕조가 시작되었다. 메로빙거 왕조의 이름은 메로베우스 1세에서 유래했다.[2] 클로도베쿠스 1세 (클로비스 1세) (481–511)는 힐데리히 1세의 아들로 훗날 갈리아 전체를 통합하게 된다.

이름과 제위 년도초상탄생결혼과 자녀사망혈통
메로베우스 1세411년 (?)베리카458년 (?)살리 프랑크인의 왕
킬데리쿠스 1세437년 (?)튀링겐의 바신느481년 (?)메로베우스 1세의 아들
클로도베쿠스 1세466년 (?)1) 이름 미상의 첩511년 11월 27일킬데리쿠스 1세와 튀링겐의 바신느의 아들



클로비스 1세 사후, 프랑크 왕국은 네 명의 아들들에 의해 분할되었다. 이후, 왕국의 통합과 분열이 반복되었다.

클로타르 2세는 브룬힐다와 그녀의 증손자 시기베르트 2세를 물리치고 왕국을 재통일했다. 그 무렵 네우스트리아, 부르군디, 아우스트라시아는 지역 정체성을 발전시켰다. 지역 귀족들을 달래기 위해 아우스트라시아는 종종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디를 통치하는 왕의 아들이나 형제와 같은 별도의 왕이 통치했다.

이름
재위
초상화출생결혼
자녀
사망참고
클로타르 2세[2]--584년경
파리
킬페리크 1세와 프레데군트의 아들
1. 할데트루데: 아들 1명
2. 베르트루데, 613년: 자녀 없음
3. 시힐데, 618년: 아들 1명
629년 10월 18일
44/45세
왕국을 재통일
다고베르트 1세
629년 10월 18일

639년 1월 19일
100x100px
603년경[3]
파리
클로타르 2세와 할데트루데의 아들
1. 고르마트루데: 자녀 없음
2. 난틸드, 629년 이전: 아들 1명
3. 울페군디스: 자녀 없음
4. 베르킬디스: 자녀 없음
639년 1월 19일
33/34세
에피네쉬르센
클로타르 2세의 아들
623-634년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카리베르트 2세
629년 10월

632년 4월 8일
100x100px
607/617년
파리
클로타르 2세와 시힐데의 아들
가스코뉴의 통치자 아망의 딸, 질라: 629년
킬페리크
632년 4월 8일
15/25세
블라이, 지롱드
클로타르 2세의 아들
아키텐 통치
클로비스 2세
639년 1월 19일

657년 11월 27일
100x100px
633년
파리
다고베르트 1세와 난틸드의 아들
발틸드, 640년대: 아들 3명657년 11월 27일
23/24세
다고베르트 1세의 아들
클로타르 3세
657년 11월 27일

673년 봄
100x100px
652년
파리
클로비스 2세와 발틸드의 아들
미상의 애인: 아들 1명일 가능성673년 봄
20/21세
클로비스 2세의 장남
테우데리크 3세
673년 봄
100x100px
654년
파리
클로비스 2세와 발틸드의 아들
1. 크로틸디스, 675년 이전: 아들 2명
2. 모뵈주의 아말베르가, 674년: 딸 1명
3. 여러 첩: 최소 3명의 자녀
691년 4월 12일
36/37세
클로비스 2세의 셋째 아들
클로비스 (3세)
675년 9월

676년 6월
100x100px
670년경
클로타르 3세와 미상의 애인의 아들
미혼676년경
5/6세
클로타르 3세의 사생아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또한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디 주장
킬데리크 2세
673년 봄

675년 가을
100x100px
653년
파리
클로비스 2세와 발틸드의 아들
빌리힐드, 662년: 아들 2명675년 가을
21/22세
클로비스 2세의 차남
662-675년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테우데리크 3세
675년 가을

691년 4월 12일
--654년
파리
클로비스 2세와 발틸드의 아들
1. 크로틸디스, 675년 이전: 아들 2명
2. 모뵈주의 아말베르가, 674년: 딸 1명
3. 여러 첩: 최소 3명의 자녀
691년 4월 12일
36/37세
클로비스 2세의 셋째 아들
679년 이후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피핀 가문은 처음에는 메로빙거 왕조의 왕 아래에서 궁재직을 역임했다. 687년 피핀 2세는 테르트리의 전투에서 네우스트리아를 정복한 후 ('dux et princeps Francorum')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752년 피핀 3세가 프랑크 왕이 되면서 궁재는 사라졌고, 카롤링거 왕조가 메로빙거 왕조를 대체했다.

3. 1. 모든 프랑크인의 왕 (509년–511년)

클로비스 1세는 로마 제국의 영토 뿐만 아니라 서고트족의 남부 프랑스 영토를 병합하여 갈리아 전체를 통합하였으며, 작은 프랑크 소왕국들을 하나로 통합했다. 그는 파리를 수도로 삼고, 수아송, 랭스, 메츠, 오를레앙에 각각 주요 거점을 두었다.[2]

이름
재위 기간
초상화출생결혼
자녀
사망비고
클로비스 1세
509년–511년 11월 27일

투르네
힐데리크 1세와 튀링겐의 바시나의 아들
1. 불명의 부인: 아들 1명
2. 클로틸드, 493년:
자녀 4명
511년 11월 27일
44/45세
파리
481년부터 살리 프랑크족의 왕; 509년까지 모든 프랑크족을 통일하여 통치


3. 2. 클로비스 1세 사후 분열 (511년–561년)

클로비스 1세는 로마 제국의 영토 뿐만 아니라 서고트족의 남부 프랑스 영토를 병합하여 갈리아 전체를 통합하였으며, 작은 프랑크 소왕국들을 하나로 통합했다. 그는 파리를 중심으로 수아송, 랭스, 메츠, 오를레앙에 각각 주요 거점을 두었다. 클로비스 1세 사후, 프랑크 왕국은 그의 네 아들에 의해 각 거점별로 분할되었다.[2]

수아송파리오를레앙랭스
클로타르 1세, 511년–561년힐데베르트 1세, 511년–558년
클로타르 1세, 558년–561년
클로도메르, 511년–524년
힐데베르트 1세, 524년–558년
클로타르 1세, 558년–561년
토이데리히 1세, 511년–534년
토이데베르트 1세, 534년–548년
토이데발트, 548년–555년
클로타르 1세, 555년–561년



클로타르 1세는 형제들의 사망 이후 모든 프랑크 왕국을 계승받았다. 그러나 클로타르 1세 사후, 프랑크 왕국은 다시 그의 네 아들에 의해 분할되었다.

3. 3. 클로타르 1세 사후 분열 (561년–613년)

클로타르 1세가 사망한 후, 프랑크 왕국은 그의 네 아들에게 분할되었다.

수아송 (후에 네우스트리아)파리오를레앙 (후에 부르고뉴)랭스와 메츠 (아우스트라시아)



클로타르 1세의 서자 군도발트는 584년 아키텐을 차지하고 스스로 아키텐 왕이 되었다.

아키텐



이후 수아송의 왕 클로타르 2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브룬힐다와 그녀의 손자를 꺾고 왕국을 통합하였다.

3. 4.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 (613년–679년)

클로타르 2세는 613년 아우스트라시아의 브룬힐다와 그녀의 손자를 꺾고 왕국을 통합했다. 629년부터 네우스트리아부르고뉴의 왕은 다음과 같다.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
다고베르트 1세 (629년639년)
클로비스 2세 (639년658년)
클로타르 3세 (658년673년)
토이데리히 3세 (673년)
힐데리히 2세 (673년675년)
토이데리히 3세 (675년691년)



679년, 토이데리히 3세는 다시 한번 모든 프랑크의 소왕국을 통일한다.

3. 5.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623년–679년)

클로타르 2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브룬힐다와 그녀의 손자를 꺾고 왕국을 통합하였다. 그러나 623년 왕국의 국경 강화를 위해 아들 다고베르트 1세를 아우스트라시아 왕위에 앉혔다.[9]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다고베르트 1세, 623년634년
지게베르트 3세, 634년656년
힐데베르트 3세 양자왕, 656년661년
클로타르 3세, 661년662년
힐데리히 2세, 662년675년
클로비스 3세, 675년676년
다고베르트 2세, 676년679년


3. 6. 후기 프랑크 왕 (679년–751년)

679년 토이데리히 3세는 다시 한번 모든 프랑크의 소왕국을 통일하였다. 이때부터 잠시 내전 기간을 제외하고 프랑크는 1개의 통일 왕조로 간주된다.

4. 카롤링거 왕조

(노스트리아, 561-584)
(파리, 567-584)
군트람
(오를레앙 & 부르군디, 561-592)카리베르트 1세
(파리, 561-567) 지게베르트 1세
(오스트라시아, 561-575)567–575파리 분할575–584힐데베르트 2세
(오스트라시아, 575-596)
(부르군디, 592-596)
584–592클로타르 2세
(노스트리아, 584-629)
(단독 통치, 613-629)
colspan="2" style="border-left-style:none; border-top-style:none;" bgcolor="#fff0f5" |592–596 596–612테우데리크 2세
(부르군디, 596-613)테우데베르트 2세
(오스트라시아, 596-612) 612–613 613지게베르트 2세
(오스트라시아 & 부르군디, 613)613–622colspan="3" bgcolor="#f5f5dc" style="border-bottom-style: dotted; border-left-style: dotted; background: beige;" |623–629bgcolor="#f5f5dc" style="border-top-style: none; border-left-style: dotted; border-right-style: dotted;" |bgcolor="#f5f5dc" style="border-top-style: none; border-left-style: dotted;" |다고베르트 1세
(오스트라시아, 623-634)
(노스트리아, 629-639)
(단독 통치, 632-634)
629–632colspan="2" rowspan="4" bgcolor="#e6e6fa" |아키텐카리베르트 2세
(아키텐, 629-632)킬페리크 (아키텐)
(아키텐, 632)632–634 


4. 1. 궁재

원래 카롤링거 왕조는 메로빙거 왕조의 궁재였다. 687년, 헤르스탈의 피핀은 "프랑크의 공작과 백작"(''dux et princeps Francorum'')의 지위를 얻고 사실상 전권을 행사하였다. 연대기 사가들은 이때부터를 사실상의 피핀의 재위기간으로 본다.

751년, 피핀 3세는 프랑크의 왕이 되었고 궁재의 직위는 없어졌다. 카롤링거 왕조가 메로빙거 왕조를 대체하게 된다.

네우스트리아 & 부르고뉴오스트라시아
634–639다고베르 1세
(프랑크 왕 전체의 이전 왕, 632-634)
(네우스트리아의 왕, 629-639)
시게베르트 3세
(오스트라시아의 왕, 634-656)
궁재: 아달기셀; 피핀 1세; 오토; 그리모알 1세
639–656클로비스 2세
(639–657)
궁재: 에가; 에르키노알드 (네우스트리아); 플라오차드; 라도베르투스 (부르고뉴)
656–657힐데베르트 3세 (입양된 사람)
(656–662)
궁재: 그리모알 1세
657–658클로타르 3세
(657–673)
궁재: 에브로인
658–662
662–663킬데리크 2세
(663–675)
궁재: 울포알드
673테우데리크 3세
궁재: 에브로인
673–675
675–676테우데리크 3세 (복위)
궁재: 뢰데시우스 (675); 에브로인 (675-680); 와라톤 (681); 지스테마르 (682);
와라톤 (682–685); 베르샤르 (686); 노르데베르트 (687–695)
클로비스 3세
궁재: 울포알드
676–679다고베르 2세
궁재: 울포알드
679–691(프랑크 왕 전체의 왕; 679–691)궁재: 피핀 2세 (680–714)
691–695클로비스 4세
(691-695)
궁재: 노르데베르트궁재: 피핀 2세
695–711힐데베르트 4세
(695-711)
궁재: 그리모알 2세 (네우스트리아); 드리고 (부르고뉴)궁재: 피핀 2세
711–715다고베르 3세
(711-715)
궁재: 그리모알 2세 (695–714); 테우도알드 (714–715)궁재: 피핀 2세 (679–714); 테우도알드 (714–716)
715–717킬페리크 2세
(715-721)
궁재: 라겐프리드 (715–719)궁재: 테우도알드 (714–716)
717–719클로타르 4세
(오스트라시아의 라이벌 왕, 717–719)
궁재: 카를 마르텔 (717–741)
719–721궁재: 카를 마르텔 (719-741)
721–737테우데리크 4세
(721-737)
궁재: 카를 마르텔 (719-741)
737–743공위 시대
궁재: 카를 마르텔 (719-741)
궁재: 피핀 3세 (741–751)궁재: 카를로만 (741–747)
743–751힐데리크 3세
(743-751)
궁재: 피핀 3세 (741–751)궁재: 카를로만 (741–747)


4. 2. 프랑크 왕

''단신왕'' 피핀은 751년부터 768년까지 프랑크 왕국을 다스렸다. 카를로만은 768년부터 771년까지 네우스트리아, 부르고뉴, 알레만니아의 군주였다.[1] 샤를마뉴(카롤루스 대제)는 768년부터 814년까지 왕위에 있었으며, 처음에는 아우스트라시아, 아키텐, 북부 네우스트리아 지역을 다스렸다. 그는 774년 롬바르드의 왕이 되었고, 800년에는 신성로마황제가 되었다.[2]

소 샤를은 790년부터 811년까지 네우스트리아와 프랑코니아를 다스렸다.[3] 피핀은 781년부터 810년까지, 베르나르도는 810년부터 817년까지 이탈리아를 통치했다.[4] 경건왕 루트비히는 781년부터 814년까지 아키텐을 다스렸다.[5]

경건왕 루트비히는 814년부터 840년까지 황제이자 프랑크의 왕이었다.[6] 로타르 1세는 817년부터 839년까지 이탈리아를, 815년부터 817년까지는 바이에른을 다스렸다. 독일왕 루트비히는 817년부터 843년까지 바이에른을 통치했다.[7] 피핀 1세는 817년부터 838년까지 아키텐을 다스렸고, 샤를 ''대머리왕'' (838년-855년)과 피핀 2세(838년-851년)가 아키텐 왕위를 두고 경쟁했다.[8]

4. 3. 베르됭 조약 이후

814년 경건왕 루트비히가 프랑크 왕국 전체의 왕이 되었으나, 그의 생전에 이미 영토는 여러 부분으로 분할되었다. 840년 루트비히 1세가 사망하자, 아들들 사이에 3년간의 내전이 벌어졌고, 843년 베르됭 조약을 통해 프랑크 왕국은 최종적으로 세 부분으로 나뉘게 되었다.

  • 로타르 1세는 황제 직위와 함께 중 프랑크 왕국 (로타링기아, 이탈리아)을 유지했다.
  • 대머리 카를은 서프랑크 왕국 (아키텐 포함)을 차지했다.
  • 독일왕 루트비히는 동 프랑크 왕국 전체를 받았다.


이 세 왕국은 각각 오늘날의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의 모태가 된다.

4. 3. 1. 서프랑크 왕국 (후에 프랑스 왕국)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이 분할된 후, 대머리 카를은 아키텐을 포함한 서프랑크 왕국을 차지했다. 서프랑크 왕국은 이후 프랑스의 모태가 된다.

이후 프랑스는 카페 왕조가 다스리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의 군주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3. 2. 중프랑크 왕국

'''로타르 1세''' (840년-855년) 840년부터 황제[1]

855년 로타르가 죽자 그의 왕국은 아들들에게 분할되었다.[1]

루트비히 2세 사후 중프랑크 왕국은 분해되고, 이탈리아, 로타링기아, 프로방스, 부르군트 등으로 분리되었다.[1] 이탈리아서프랑크 왕국의 샤를 ''대머리왕''에게 넘어갔다가 동프랑크 왕국의 카를만, 카를 3세, 아르눌프를 거쳐서 제후들이 난립하였다.[1] 자세한 것은 이탈리아의 군주를 참고.[1]

로타링기아는 870년 메르센 조약으로 동프랑크 왕국서프랑크 왕국에 분할되었다가 루트비히 3세, 아르눌프, 츠벤티볼트, 샤를 ''단순왕''을 거쳐서 925년 독일의 속국으로 편입되었다.[1] 프로방스와 부르군트는 875년 서프랑크 왕국에 편입되었으나 프랑크의 루이 2세 사후 제후들이 난립하였다.[1]

4. 3. 3. 동프랑크 왕국 (후에 독일)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은 동 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중 프랑크 왕국으로 나뉘었다. 독일왕 루트비히는 동 프랑크 왕국 전체를 받았다.

루트비히는 그의 영토를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최종적으로 882년 서자인 막내아들에게 모두 돌아갔다.

  • 카를만 (876년-880년), 바이에른 상속, 877년부터는 이탈리아 왕.
  • 루트비히 3세 (876년-882년), 작센, 프랑코니아, 튀링겐을 받음, 879년에 형 카를만에게 바이에른도 상속받음.
  • 카를 비만왕 (876년-887년), 알레마니아 상속, 879년 카를만에게 이탈리아 왕을 882년 루트비히에게 동 프랑크를 받음 881년 황제가 됨.


카를 비만왕의 퇴위 후, 동프랑크는 조카에게 상속되었다.

루트비히 유아왕은 마지막 카롤링거 왕조 출신의 동 프랑크 왕이었다. 그는 콘라두스 1세에게 상속되었다가 그 다음 작센의 오토 왕조에게 넘어간다.

참조

[1] 문서 contested by Munderic
[2] 서적 A History of Fra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A. Fullarton & Co.
[3] 문서 Sanctity and Pilgrimage in Medieval Southern Italy, 1000–12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The English Cyclopaedia: Volume IV
[5] 문서 The Popes: Histories and Secrets
[6] 서적 A History Of Fra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A. Fullarton & Co.
[7] 문서 ムンデリック
[8] 문서 グンドアルド
[9] 간행물 The English Cyclopaedia: Volume IV
[10] 문서 The Popes: Histories and Secre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